▲ 미국의 한 애플 아이폰 매장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중국에서 생산되는 아이폰이 관세 면제를 받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11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애플 주가가 4% 상승 마감했다. 이날 애플 주가는 전날보다 4.06% 올라 198.15달러에 거래를 마쳐 200달러선을 눈앞에 뒀다. 이날 주가는 전날보다 약 2% 내린 186.18달러에 출발했지만, 이후 반등해 상승 폭을 키웠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대해 145%의 관세를 부과했지만 아이폰 등 애플 기기는 관세를 면제받을 가능성이 제기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애플은 아이폰을 대부분 중국에서 생산하고 있다. 애플은 지난 트럼프 1기 때 관세 면제를 적용받았지만 이번에는 지금껏 면제받지 못하고 있다. CFRA 리서치의 분석가 안젤로 지노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대폭 인상한 후 애플이 관세를 면제받을 가능성이 커졌다고 말했다. “현재 상태에서 관세가 적용된다면 애플에 큰 타격이 될 수 있다”고 그는 고객들에게 보낸 메모에서 분석했다. 이어 “미·중 간 합의가 조속히 이뤄지지 않는다고 보면 애플이 관세 면제받을 가능성을 기존 20%에서 50%로 상향 조정한다”고 밝혔다. 상호관세가 발표한 대로 부과되면 중국산 제품에는 100% 넘는 관세가 붙지만, 한국산 제품에는 25%의 관세가 붙게 된다. 앞서 애플은 해외에서 생산한 제품을 긴급히 들여온 것으로 알려졌다. 10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애플이 지난 3월부터 대형 화물기 6대를 동원해 인도에서 생산한 아이폰을 대량 공수했다고 보도했다. 미국 정부가 대부분의 국가를 대상으로 고율 관세를 예고한 직후, 애플은 관세가 본격 적용되기 전에 생산 속도를 끌어올리고 제품을 미국으로 신속히 반입하는 ‘시간과의 전쟁’에 돌입한 것이다. 보도에 따르면, 이번에 투입된 화물기들은 최대 100톤을 적재할 수 있는 대형 항공기로, 현재까지 약 600톤 규모의 아이폰과 액세서리가 미국으로 옮겨졌다. 아이폰14 한 대와 충전 케이블 야외활동 전후로 종아리 스트레칭 및 전신 스트레칭을 통해 아킬레스건 부상을 방지하는 게 좋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봄기운이 완연해진 요즘, 야외 활동이 부쩍 늘어난다. 오랜만에 야외에 나왔다면 예기치 못한 부상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그중 드물지 않게 발생하는 것이 아킬레스건(힘줄) 파열이다. 아킬레스건은 걷거나 뛸 때 걸음에 반동을 만들어 주는 구조물로 우리 몸에서 가장 굵고 튼튼한 힘줄이다. 아킬레스건은 걷거나 뛸 때 몸을 지면에서 들어 올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걸을 때마다 가해지는 하중이 크고 자주 일을 해야 하는 힘줄이지만 역할에 비해 혈액순환이 취약해 파열이 발생하기 쉽다. 갑작스러운 가속과 감속이 필요한 운동 혹은 점프가 필요한 운동 중 종아리 근육의 순간적인 수축력에 의해 갑자기 ‘뚝’ 하는 느낌과 함께 통증을 동반한 파열이 생기는 경우가 흔하다. 이외에 만성적 퇴행성 변화나 발꿈치 뒤쪽 통증을 가지고 있다가 파열되는 경우도 있다. 상계백병원 족부족관절센터 배서영 교수는 “아킬레스건 파열을 예방하려면 운동 전후에 적절한 종아리 스트레칭은 물론 몸 전체 유연성과 순발력이 떨어지면 갑작스러운 하중을 아킬레스건이 감당해야 하는 순간이 생기기 쉬우므로 전신 준비운동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배서영 교수는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계절이나 일교차가 큰 날씨에는 경직된 몸이 적응되기 전에 운동 강도를 갑자기 높이는 것은 위험하다”고 말했다.아킬레스건 만성 건염은 파열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퇴행성 변화가 항상 통증을 동반하지 않기 때문에 본인이 변화가 있는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특히 선천적으로 아킬레스건이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에는 운동 전후뿐만 아니라 평상시에도 스트레칭을 습관화해야 하고 당기거나 통증 혹은 힘줄이 두꺼워지는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는 활동량 조절이 필요할 수 있어 정형외과 진료를 받는 게 좋다.배서영 교수는 “아킬레스건은 한번 손상되면 수술이 필요하기도 하고 회복 과정이 긴 편이다”라며 “손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