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어러블 장비를
웨어러블 장비를 착용한 산불재난특수진화대원들은 장비를 착용한 채 땅을 헤집고 물을 뿌려 잔불을 정리했다. 하체와 다리에 장비가 일부 드러난 모습. /사진제공=산림청. 최근 발생한 영남 대형산불 진압 작전에는 웨어러블 장비가 동원됐다. 진압대원의 근력을 향상시켜 효과적인 산불 진화를 뒷받침했다. 산림청은 웨어러블 장비 보급 확대를 고질적인 진압대원 고령화 문제의 해결책 중 하나로 보고 있다.10일 산림청에 따르면 지난해 말까지 웨어러블 장비 206대가 보급됐다. 기관별로는 △산림청 본청 3대 △동부지방산림청 110대 △남부지방산림청 70대 △산림항공본부 10대 △품종관리센터 13대다. 이 중 산불재난특수진화대에 105대가 보급됐으며 하반기까지 시범 사용을 마치면 산불전문예방진화대 등에도 보급하는 방안을 검토한다.산림청은 영남 산불 현장에 웨어러블 장비를 투입했다. 사실상 첫 실전에 나선 남부지방산림청은 안동시 남후면의 잔불 정리 작업에 투입된 일부 50대 이상의 산불재난특수진화대원들에게 장비를 착용시켰다. 진화대원들은 장비를 착용한 채 땅을 헤집고 물을 뿌려 잔불을 정리했다. 대원들은 "오랜 시간 반복 작업 시 큰 도움이 됐다"는 취지의 반응을 내놨다. 일부 대원은 장비 연결 부위가 풀 등에 걸린다는 아쉬움도 밝혔다. 산림청이 도입한 웨어러블 장비 착용 모습. /사진제공=산림청 웨어러블 장비의 착용 및 사용 방법은 간단하다. 가방을 메듯 양 팔을 장비에 넣은 후 다리 역시 벨트를 활용해 장비와 고정시킨다. 장비를 착용한 대원이 산불진화 장비 등을 들고 움직이면 장비에 내장된 모터가 착용자의 근력을 보조해준다. 착용자의 평균 근육 피로도와 근력 사용을 상당 수준 낮출 수 있다.산림청과 제조사의 관련 자료에 따르면 평균 근피로도는 약 49%, 평균 근력 사용은 26%가량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산림청이 지난해 하반기에 실시한 착용테스트 결과 당시 참여한 50대 대원들 모두 20㎏ 무게 스쿼트 개수가 늘어나는 등 향상된 운동능력을 보였다.산림청이 웨어러블 장비를 동원한 이유는 진화대원들의 고령화에 따른 높은 피로와 부담감을 덜기 위해서다. 산림청이 어기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산불진화대 현원은 △공중진화대 103명 △산불재난특수진화대 410[백종인 기자]마을을 둘러싼 갖가지 형상의 붉은 바위산만으로도 사람들의 이목을 끌기에 충분하다. 거기에 붉은 바위층에서는 지구의 에너지가 소용돌이치며 나온다. 우리는 이것을 영어로는 '볼텍스(Vortex)', 우리말로는 '기'라 부른다. 사람들은 경이로운 자연을 보는 것을 넘어 치유, 명상, 영적인 체험을 제공하는 '기'를 받기 위하여 이곳을 찾는다. 이곳은 한국인에게도 잘 알려진 미국 애리조나주에 있는 세도나(Sedona)이다.그러나 지난 3월, 우리가 세도나를 방문한 것은 상쾌하고 시원한 날씨 속에서 붉은 바위산을 누비는 하이킹을 하고 싶어서였다. 세도나에서의 하이킹은 단순한 등산 이상이었다. 코스 곳곳에 숨어있는 동굴 속으로 들어가거나 바위 산 정상으로 가기 위해 아찔한 바위를 타고 기어 올라가는 맛이 나이를 까맣게 잊게 했다. 게다가 산을 조금 깊숙이 들어가면 20도 가까운 날씨에도 녹지 않은 눈을 보고 만질 수 있었다.벨 록과 코트하우스 버트 루프(Bell Rock and the Courthouse Butte Loop) 트레일: 7.4km▲ 벨 록캐시드럴 록과 함께 기가 가장 많이 나오는 곳으로 알려진 벨 록은 이름이 말해주듯이 전체가 종 모양이다.ⓒ 백종인 벨 록(Bell Rock)은 캐시드럴 록(Cathedral Rock)과 함께 세도나를 대표하는 산으로 기가 가장 많이 나오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 이름이 말해주듯이 벨 록은 전체가 종 모양이다. 또한, 바로 옆에 웅장하게 솟아오른 코트하우스 버트(Courthouse Butte)를 끼고 있어 두 바위산 전체를 둘러싼 트레일을 걸을 수 있다. 우리는 세도나에서의 첫 번째 하이킹으로 벨 록과 코트하우스 버트를 끼고도는 트레일을 택했다. 7.4km에 달하는 벨 록 루프(Bell Rock and Courthouse Butte Loop) 트레일은 크게 오르내림이 없는 길이라 아이들도 갈 수 있는 곳이나, 그런 만큼 주차를 하려면 부지런해야 했다. 아침 8시경에 도착해 무사히 주차한 후 우리는 호기롭게 하이킹을 시작했으나 처음부터 입구를 헷갈리는 수고를 해야 했다. 루프를 돌고 난 다음 마지막으로 오르기로 한 벨 록 등반 길과 루프 길을 혼동한 것이다. 적당히 구름이 낀 하늘은 하이킹하기에 적당한 빛과 그늘을 제공해 주었다.
웨어러블 장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