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터

믿고 신뢰할 수 있는 품질, 라셀르 - 라셀르 쇼핑몰

[SourceTree] Git GUI 소스트리 (SourceTree) 설치하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Sugar
조회 5회 작성일 25-04-07 02:57

본문

깃(git)의 소스트리 설치 - Sourcetree 경우 CLI 환경에서 작업이 가능하긴 하지만, git desktop 과 같은 GUI 프로그램들도 있기에 좀 더 편한 사용이 가능합니다.​그 중 소스트리의 경우 개인적으로 GUI형 git 툴 중에는 쓰여져있는 용어들은 좀 복잡하지만 기능면이나 활용도 면에서는 부족함 없이 편한 git 사용을 지원하는 툴이라고 생각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소스트리(SourceTree) 를 활용하여 기본적인 깃 작업을 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를 해보려 합니다.설치 및 Git 프로젝트 임포트​​소스트리는 공식사이트에서 바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무료 프로그램이고 OS X, WIndow 두 OS를 지원하기 때문에 누구나 편하게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다고 소스트리 설치 - Sourcetree 생각되네요.​설치 방법은 다른것 없이 쭉 진행하면 됩니다.설치 중간에 Bucket 계정을 생성하라는 문구가 나오는데, 해당 부분은 건너뛰어도 소스트리를 사용하는데 문제 없으니 건너뛰어도 됩니다. (어차피 Git을 활용할 생각이기 때문에 저는 건너뛰고 바로 깃 프로젝트를 복사해왔습니다.)​Git 프로젝트는 Git 사이트에서 만들어놓은 프로젝트의 git 주소를 복사해 붙여넣으면 가져올 수 있습니다.추가로 GitHub 프로젝트로 협업할 때 이상하게 특정 계정에서 프로젝트에 대한 권한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은 상황에서는 다음 링크의 방법을 이용해서 해결할 수 있습니다.​간단 사용방법 정리​소스트리는 기본적으로 어떠한 브랜치가 로컬 그리고 원격에 소스트리 설치 - Sourcetree 커밋이 되어 있고 어떠한 작업을 할 수 있는지 바로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커밋한 날짜 순으로 정리가 되어있기 때문에, 작업을 진행하던 도중 다른 작업이 어느정도 진행이 되어 있는지 바로 확인이 가능하고 또 필요시 작업했던 것을 되돌려 프로젝트를 복구할 수 있습니다.​소스트리의 기본적인 GUI 환경에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좌측 탭좌측 탭에서 현재 열려있는 브랜치를 확인할 수 있고, 원격 탭을 열면 원격에 있는 브랜치를 스태시를 열면 로컬에 저장되어 있는 스태시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기본적으로 좌측탭의 파일상태가 눌려 있는데 이 상태에서 메인 창인 가운데 화면에 소스트리 설치 - Sourcetree 현 브랜치의 작업상황이 표시됩니다.​위쪽 탭위쪽 탭에는 커밋, PULL Push 등 기본적으로 Git에서 활용가능한 기능들이 있습니다.사실 위쪽 탭에서 커밋, PULL, PUSH, 패치, 브랜치, 스태시 정도만 사용하고 나머지 기능은 아래 메인창 그리고 좌측의 탭에서 사용하기 때문에 위쪽 탭의 다른 버튼들은 크게 사용할 일이 없더라고요.​커밋은 현 상태를 로컬에 저장하고 원격에 올리기 위한 준비를 하는 작업이고,PULL은 원격 저장소에 있는 새로운 작업 상태를 가져오기 위한 작업,PUSH는 로컬에 있는 작업상황을 원격저장소에 업로드 하기위한 작업, 패치는 원격 저장소에 변화 상태가 있는지 확인하는 작업, 브랜치는 소스트리 설치 - Sourcetree 새로운 브랜치를 생성하는 작업,스태시는 현 작업상태를 커밋하지 않고 로컬의 별도 저장소에 저장하는 작업입니다.​메인창​메인 창에서 특정 커밋에 우클릭을 하면 다음과 같은 기능들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다른것들은 크게 신경쓸 필요 없이 이 커밋까지 현재 브랜치를 초기화 정도만 알고 있어도 기본적인 깃 작업은 문제없이 진행할 수 있다고 생각되네요.​​초기화를 눌렀을 때 모드가 위와 같이 3개가 나오는데, Mixed는 커밋정보를 없애고, 작업상태는 유지하는 것 Hard는 커밋정보는 초기화를 진행할 커밋이후의 상태를 전부 삭제하는 모드입니다.​Hard가 좀 극단적이긴 한데, 작업중 상당히 많이 꼬였을 때는 꽤 소스트리 설치 - Sourcetree 유용한 기능이라고 생각되네요.​​깃 작업 중 브랜치를 생성할 때는 위의 버튼을 통해 생성할 수 있고 브랜치를 이동하는 방법은 간단히 좌측 탭에서 이동을 원하는 브랜치를 더블클릭하면 됩니다.​​원격에 있는 브랜치로 이동할 때(체크아웃) 역시 더블클릭으로 할 수 있는데, 이 때 새 브랜치 체크아웃 해야 기존에 작업중이던 브랜치를 건들이지 않고 전환할 수 있습니다.​​개인적으로 가장 마음에 드는 기능이 이 병합기능입니다.​기본적으로 어떠한 작업을 할 때 해당 작업을 로컬에서 별도로 브랜치를 만들어 작업하고, 이후 메인 브랜치로 체크아웃 한 뒤 작업을 진행했던 브랜치에서 우클릭을 하면 위와 소스트리 설치 - Sourcetree 같은 기능들을 볼 수 있습니다.​여기서 현재 브랜치로 main 병합을 하면, main에 작업했던 것들이 현재 열려있는 브랜치로 합쳐지게 됩니다.기본적인 기능은 위와 같고 소스트리를 활용하면서 제일 오류가 적게 작업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실제로 원격에 저장하는 브랜치와 자신이 작업중인 브랜치를 구분한다.​이것은 선택사항이기도 하지만, 제 개인적으로는 필수라고 생각됩니다.원격에 작업했던 사항들을 불러올 때 작업중인 상황과 충돌이 일어날 경우 PULL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충돌사항 들을 일일히 확인하여 해결해야 할 수 있습니다.물론 동일한 기능 그리고 문서에 대해 작업이 있었을 경우 이 충돌사항을 수동으로 해결해야 소스트리 설치 - Sourcetree 하는 것은 어쩔수 없지만, 서로 다른 작업을 진행하는 도중 일어나는 충돌의 경우 까다롭기 때문에 브랜치를 분리하여 작업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혹시나 충돌이 일어났을 경우, PULL은 받아진 상태이고 병합에 대한 커밋을 해야하는 상황이면, ​​스테이지에 올라가지 않은 파일들을 우클릭하여 내것을 이용하여 충돌을 해결하거나, 저장소것을 이용하여 충돌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본인이 작업한 파일이라면, 내것을 이용하여, 원격에 저장되어 있던 것이 최신 작업이라면 저장소것을 사용하여 해결하면 됩니다.​​[출처] 소스트리 (SourceTree) 간단 사용방법 정리|작성자 마이와트깃(git)의 경우 CLI 환경에서 작업이 가능하긴 하지만, git desktop 과 같은 GUI 프로그램들도 소스트리 설치 - Sourcetree 있기...​

고객센터자료실
에너지소비효율1등급쇼케이스
에너지소비효율1등급
고객센터
쇼케이스
자료실